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기전 규명

PTSD치료제 원리 세계최초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이창준) 이보영 연구위원 연구팀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 치료제의 과학적 원리를 동물실험을 통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뇌과학 학술지인 분자정신의학지(Molecular Psychiatry)에 4월 14일 게재되었으며,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기대된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치료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등 정신과적 치료와 우울증 약물치료가 병행되고 있으나 호전율은 50%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가 개발되곤 있지만 치료 기전은 밝혀진 바 없었다.


* 사고, 재해 등 심각한 사건에서 얻은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속적으로 다시 경험함으로써 일상생활에 지장을 겪는 정신질환


이번 연구는 임상 개발 중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 NYX-783*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마우스 모델에 적용하여 치료 효과의 작용원리을 밝혔으며,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명확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 ’21년 12월부터 임상시험 2b 단계 진행 중인 Aptinyx사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약


연구진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동물 모델에 공포 상황 24시간 후 NYX-783을 주입하였으며, 공포기억 재발이 억제됨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변연하 내측 전전두엽 내 흥분성 신경세포의 GluN2B* 소단위체 단백질을 포함한 NMDA수용체**가 활성화됐다.


* NMDA 수용체를 이루는 여러 단백질 소단위체 중의 하나


** 신경세포의 흥분성 시냅스에 존재하는 막단백질로, 칼슘이 이동하는 이온통로. 칼슘의 흐름을 조절해 시냅스가 제대로 기능하게 하여 신경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침


이는 신경기능을 조절하는 BDNF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신경세포의 가소성을 향상시켜 공포 기억을 억제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의 효능과 과학적 원리를 최초로 입증한 것이다.


* 뇌 안에 있는 신경영양인자 단백질 중의 하나. 뇌유래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의 약자), 뇌 유도성 신경영양인자 혹은 뇌신경 생장인자로도 불림


이보영 연구위원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의 분자적 기전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이번 연구성과는 NMDA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본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또한, “추후, 여러 접근방식을 적용하여 다른 기전의 후보물질들을 구축하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뿐 아니라 다양한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하고자 한다.”고도 전했다.

.........................................................................................

논문명


○ Positive modula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in the mPFC reduces the spontaneous recovery of fear (Molecular Psychiatry)


저자

○ 이보영 박사 (제1저자/교신저자/기초과학연구원), Santosh Pothula (예일대학교), Min Wu (예일대학교), Hyeyeon Kang (기초과학연구원), Matthew J. Girgenti (예일대학교), Marina R. Picciotto (예일대학교), Ralph J. DiLeone (예일대학교), Jane R. Taylor (예일대학교), Ronald S. Duman (예일대학교)



출처: [BRIC Bio통신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기전 규명,

https://www.ibric.org/s.do?pQaKjjwyWo

.....................................................

요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졌다고 해서 PTSD 논문을 찾아 보던 중 눈에 띄는 것이 있어 공유해 봅니다.


PTSD는...

개인에게 발생하는 외상후의 스트레스외에도,


지진등 자연재해,

전쟁 또는 전쟁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다리붕괴.대형화재.다수의사망자 발생사고 중 국가안전시스템이 제대로 작동안되어 발생하는 인재사고등등의 요인들이

국가구성원 전체에게 외상으로 작용하여 스트레스 장애로 장기간 고통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정신신경계 약물도 많은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만, 특히 PTSD의 치료는 약물과 상담치료외에도 " 사회적 지원, 즉 가족이나 친구들과 열린 대화를 나누고, 공감하는 관계내에서 함께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합니다. 서로돕고 지지하고 꼭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것이 중요합니다. "

역사는 발전해 왔고, 후퇴가 있을지언정 제자리를 찾았을때는 이전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한 현재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민주적 제도와 절차가 헌법에 따라 온전하고 제대로 작동할 것을 계속해서 촉구한다"

- 12월8일 미국 바이든 행정부 당국자 기사중...

백돌군(473)

작성글검색
감사
22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