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펜트라, 정리하자면

0 과연 우리가 투자를 할 때 숲을 보아야 하나, 나무를 보아야 하나?

- 이미 짐펜트라의 3분기 매출액은 매우 적다는 것을 알고 있고,

- 올 해 매출도 증권사 추정치로 400~600억으로 매우 낮다는 것을 알고 있다.


- 더불어, 2025년 매출도 회사에서도 0.7조로 낮추었고, 증권사에서는 0.2~0.5조 정도로 보고 있다.


0 그리고, 외국계 증권사에서도 회사의 전망에는 못미치지만, 점펜트라의 점유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하지 않는가

- 못미쳐 하방 리스크는 있다고 하지만, 우리는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 10월 4일 점유율은 6.4%였고, 지금도 램시마SC처럼 매분기 1~2% 씩 높아질 수 있다.


0 그렇다면, 내년은 어떻께 될까?

- 먼저 짐펜트라와 동일한 약인 램시마SC에서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 유럽에서의 램시마 SC의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 2021년 1분기(3%), 2021년 3분기(6%)

. 2022년 1분기(11%), 2022년 3분기(14%)
. 2023년 1분기(17%), 2023년 3분기(20%)
. 2024년 1분기(22%), 2024년 2분기(24%)

- 매분기 1~2%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유안타 증권(2024.11.21), 바이오시밀러 2.0.>


- 이와 유사하다면, 2025년 3분기 짐펜의 점유율은 14%, 2026년은 20%를 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리고 한번 매출이 발생하면, 그 매출은 기저에 깔고 간다. 특허가 최장 2040년까지이다.


0 다행히, 현재 짐펜의 실적 지연을 유럽 등에서의 다른 바이오시밀러가 보충하고 있다.

- 2024년 총매출은 3.5조 달성할 것이고, 내년은 5.0조 달성할 수 있다.


0 긴 호흡으로 숲을 바라보면서 투자하는 이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 짐펜의 판매 속도는 예상보다 느리지만,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 짐펜의 실적 지연은 다른 시밀러가 보충하고 있다.


0 셀트를 투자하면서 지금 짐펜트라 매출 지연은 걱정꺼리도 아니다.

- 아래의 중장기 매출액 전망을 보고, 큰 틀에서 어긋났을 때 걱정해도 늦지 않다.


물론,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실행해야 한다.


--------------------------


ps)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



seul**(579)

작성글검색
감사
58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