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 상승 초입으로 보는 이유

대세 상승의 초입으로 보는 이유를 적어보았습니다. 반드시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점도 가지고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이제 조금만 기다리면 될 것으로 본다.

셀트는 2017년 이후 두개의 강한 상승파가 있었다.

0 한번은 2018년 코스피 이전 상장이였다.
- 이전 상장은 별개로 하고, 트룩시마가 2017년 2월, 허쥬마가 2018년 2월에 유럽에서 승인되면서 상승하였다.

0 두번째는 코로나 때 2021년이다.
- 코로나 치료제 레키로나주는 별개로 하고, 2019년 11월 램시마SC가 유럽에서 승인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트룩시마의 미국 매출도 좋았다.

0 이제는 세번째 상승 파동의 초입에 있다고 본다.
- 2023년 10월에 미국에서 짐펜트라 판매가 시작되었고, 짐펜트라의 매출에 따라 세번째 대세 상승파가 나올 것으로 본다.

0 그래서, 짐펜트라의 매출이 관건이다.
- 미국 짐펜트라의 총처방수량 기준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 7월 5일(1.7%), 7월 12일(2.2%), 8월 9일(3.5%), 9월 13일(5.5%), 9월 20일(5.3%), 9월 27일(5.0%), 10월 4일(6.4%)
- 미국 짐펜트라의 신규처방수량(100unit)이다.
. 7월 5일(14), 7월 12일(30), 8월 9일(24), 9월 13일(40), 9월 20일(36), 9월 27일(33), 10월 4일(35)
- 최근 신규환자수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지금 쯤은 9.2%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 2025년 회사에서는 1~2조 매출을, 삼성증권은 0.67조를 전망하고 있다.

- 유럽 램시마SC의 점유율 속도를 참고한 짐펜트라의 매출은 2025년 1.8조이다.
. 같은 약이여도 짐펜트라가 램시마SC에 비해 4.8배 비싸기 때문이다.
. 미국 가격 6,000달러 정도(환자 1명, 1개월 치, 2주 간격 투여)

0 여기에다가 금투세 유예 및 폐지 소식이 나오면, 아주 강한 세번째의 대세 상승파가 올 것으로 본다.
- 이제 거의 다왔다.

물론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실행해야 한다.

---------------------------
ps1) 2024년 예시적인 주가 전망
- 박스권1) 합병 전의 셀트 : 13.1~17.3
- 박스권2) 셀트 + 셀케 : 17.3~24.1
- 박스권3) 셀트 + 셀케 + 셀제 : 24.1~27
- 박스권4) 홀딩스의 나스닥 상장 : 27~34

ps2) 중장기 투자자가 참고할 내용
연도별 매출, 주가 범위(영업이익에 의해 결정됨으로, 아래는 예시), 그리고 바이오시밀러 갯수
2021년(1.8조)(13만원), 3개
2022년(2.2조)(13만원)
2023년(2.2조)(13~20만원)
2024년(3.5조)(20~34만원), 6개
2025년(5.0조)(34~45만원), 11개(짐펜트라 매출 1조)
2026년(8.0조)(58~84만원)
2027년(13.0조)(84~116만원),
2028년(15.0조)(116~130만원), 17개
2029년(18.0조)(130~154만원)
2030년(24.0조)(154만원 이상),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

seul**(579)

작성글검색
감사
44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