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수출액과 매출액 차이 외
시간이 없는 관계로 개조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해해 주세요.
1. 먼저 2024년 2분기 수출액과 매출액의 차이를 살펴봄
0 이전에 수출액을 근거로 추정한 매출액은 다음과 같음
- 0.94조 ~ 0.99조
0 실제 2분기 매출액
- 0.87조(셀트 연결 기준) = 0.97조(셀트 별도 기준) - 약 0.20조(미국 현지법인과의 내부거래 등) + 약 0.10조(셀제 매출)
- 0.97조(셀트 별도 기준)
0 별도 기준 매출액은 수출액과 거의 유사
- 수출액을 근거로 한 매출 추정은 상당히 신뢰도가 높음
- 다음부터는 수출액에서 10% 정도를 제한 금액으로 매출액을 잡아 볼 예정임
- 인천의 수출입 통계가 발표되면 3분기 매출액을 추정해 볼 예정임
. 우리나라 전체, 2023년 7월에 비해 2024년 7월의 의약품 수출액 증감률은 41.7%임
. 따라서, 셀트의 매출도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됨
2. 짐펜트라의 성장률을 반영한 2024년 매출액 추정(4.2조~4.6조)
짐펜트라의 미국 시장 점유률이 벌써 3%에 이르고 있음, 이전에 추정된 2024년의 매출을 다시 게재함
<출처 : https://ct2022.com/c/v/8884>
0 가정
- 6월 간담회 때 서정진 회장님 발표 예상 처방자수 기준
. 처방자수 : 6월 초(1,800명 투여 시작), 6월말 예상(10,000명), 12월말 예상(80,000명), 2025년말 예상(150,000명)
. 2024년 월별로 누적된 총처방 횟수 추정 : 266,000회
. 1명당 월 1.3회 짐펜트라를 투여하며, 짐펜트라의 가격은 1회당 287만원
0 결과
- 2024년 짐펜트라 총매출 : 1.00조
- 2024년 셀트의 총매출 : 4.2조~4.6조
0 결론
- 셀트의 2024년 총매출의 시장 컨센서스는 3.5조이나, 약 1.0조가 추가될 수 있음
- 매우 보수적으로 계산한 결과이며, 1명당 월 2회 처방 받는다면, 총 매출은 5.0조가 될 수도 있음
0 같은 방식으로 2025년을 추정한 결과, 누적처방 횟수는 124만회, 짐펜트라의 매출액은 3.58조에 이름
- 코라나 시절 레키로나주 1.5조 매출 기대감에 주가는 37.4만원까지 상승함.
- 짐펜트라가 매출 1.5조를 달성한다면, 전고점 돌파도 가능하다고 봄
0 위의 모든 계산은 가정과 추정에 기초한 것이므로, 향후 변경될 수 있는 숫자라는 것을 감안하고 읽어주길 바람.
더불어,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 매우 신중히 실행.
----------------------------
ps1) 2024년 예시적인 주가 전망
- 박스권1) 합병 전의 셀트 : 13.1~17.3
- 박스권2) 셀트 + 셀케 : 17.3~24.1
- 박스권3) 셀트 + 셀케 + 셀제 : 24.1~27
- 박스권4) 홀딩스의 나스닥 상장 : 27~34
ps2) 중장기 투자자가 참고할 내용
연도별 매출, 주가 범위(영업이익에 의해 결정됨으로, 아래는 예시), 그리고 바이오시밀러 갯수
2021년(1.8조)(13만원), 3개
2022년(2.2조)(13만원)
2023년(2.2조)(13~20만원)
2024년(3.5조)(20~34만원), 6개
2025년(6.0조)(34~45만원), 11개
2026년(9.0조)(58~84만원)
2027년(13.0조)(84~116만원),
2028년(15.0조)(116~130만원), 17개
2029년(18.0조)(130~154만원)
2030년(24.0조)(154만원 이상), 2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