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좋은 모습을 보일 것 같습니다.
미래의 주가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생각보다 빨리 셀트가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의견입니다.
이전에도 말씀드린 드린 이유와 몇 가지 추가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트럼프 트레이드의 리스크에서 벗어난 종목입니다.
- 지금 미국장은 트럼프 트레이드가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시장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매우 싫어합니다.
- 그러나 제약바이오는 이러한 모호함에서 벗어나 있으며, 꾸준한 수요가 있습니다.
- 미국의 대통령이 누가 되건 셀트는 좋은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주도주가 바뀔 가능성도 있습니다.
- 상반기 미국이나 한국에서는 AI, 반도체 종목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트레이드의 명분으로 기술주에서 오르지 못한 섹터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 우리나라도 이와 같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제약바이오, 2차전지가 주도주로 부각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
- 미국의 급등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IRA 법이 2025년 1월 시행됩니다.
- 이 법은 고가 의약품일수록 보험사 부담이 커지게 되어 있습니다.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보험사가 바이오시밀러를 선택할 것입니다.
- 2023년 셀케와 합병한 셀트리온은 직접 생산과 직접 판매가 가능합니다. 약가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마음만 먹으면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크게 잠식할 수 있습니다.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DBR05789X
4. 2024년 하반기로 추정되는 미국의 금리 인하가 우리나라의 금리 인하를 가능케 할 것이다. 제약바이오에게는 좋습니다.
5. 금투세가 폐지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금투세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국내 큰손들의 한국시장 이탈에 있습니다. 동일한 세율을 미국과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적용한다면, 당연히 투명하고 선진화된 미국시장에 투자합니다.
- 그러나 금투세가 폐지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여당과 야당 모두 금투세의 부작용을 인식하고 있으며, 폐지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졌습니다.
- 오늘 이 부분이 시장에 반영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68402?sid=101
6. 셀트가 제약바이오의 대장이 될 것입니다.
- 2024년에는 무엇보다도 미국 짐펜트라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짐펜트라는 유럽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미국도 이와 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현재 셀트의 2분기 매출을 0.8조에서 1.0조 사이로 보이며, 삼바와 비슷한 숫자를 보일 수 있습니다.
- 짐펜트라는 신약이기 때문에 셀트의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위탁 생산하고 있는 삼바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할 수는 있어도 급격한 증가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이러한 이유로 셀트와 삼바의 매출액 차트에서 골든크로스가 2024년 내 혹은 2025년 상반기에 발생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7. 여기에다가, 셀제와의 합병도 단기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봅니다. 경영의 효율성, 규모의 경제라는 측면에서 이는 매우 큰 호재이며, 홀딩스의 연말 나스닥 상장도 기대됩니다.
여러 시장의 상황을 종합해 보았을 때, 하반기 셀트는 매우 좋은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각보다 일찍 셀트가 꿈틀 거릴 거라 예상해 봅니다.
물론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실행해야 합니다.
------------------------------------------------------------------------------------------------
이하는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셀트의 목표가입니다.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마시고, 예시적인 주가 정도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제 투자에 있어 나침판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은 그 동안 회사에서 제시한 금액을, 바이오시밀러 갯수는 회사와 증권사 리포트에서 예측한 숫자입니다.
ps1) 2024년 예시적인 주가 전망
- 박스권1) 합병 전의 셀트 : 13.1~17.3
- 박스권2) 셀트 + 셀케 : 17.3~24.1
- 박스권3) 셀트 + 셀케 + 셀제 : 24.1~27
- 박스권4) 홀딩스의 나스닥 상장 : 27~34
ps2) 중장기 투자자가 참고할 내용
연도별 매출, 주가 범위(영업이익에 의해 결정됨으로, 아래는 예시), 그리고 바이오시밀러 갯수
2021년(1.8조)(13만원), 3개
2022년(2.2조)(13만원)
2023년(2.2조)(13~20만원)
2024년(3.5조)(20~34만원), 6개
2025년(6.0조)(34~45만원), 11개
2026년(9.0조)(58~84만원)
2027년(13.0조)(84~116만원),
2028년(15.0조)(116~130만원), 17개
2029년(18.0조)(130~154만원)
2030년(24.0조)(154만원 이상), 2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