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7/09 (화) 셀트리온 자사주 및 수급현황

수고많으셨습니다


🟩 24/07/09 (화) 셀트리온 자사주 체결&신청 현황


⬛️ 7/09 자사주 체결현황

□ 셀트리온: 0주/20,000주 (0%)

□ 누계: 265,369주/410,734주 (64.60%)


⬛️ 7/10 자사주 신청현황

□ 셀트리온: 20,000주 (예상) 18:00이후 확인가능


🟩 24/07/09 (화) 셀트리온 수급 현황


⬛️ 투자자별 수급 현황 -------------------------------------

🟥 기관: 130억 매수

ㄴ■ 금융투자: 26억 매수

ㄴ■ 보험: 2.3억 매수

ㄴ■ 투신: 32억 매수

ㄴ■ 연기금: 62억 매수

ㄴ■ 사모펀드: 3.4억 매수

ㄴ■ 기타법인: 10억 매수 (자사주아님)

🟥 외국인: 132억 매수

🟦 개인: 273억 매도

⬛️ 수급 ----------------------------------------------


□ 투자자 매매동향

 ̄ ̄ ̄ ̄ ̄ ̄ ̄ ̄ ̄ ̄ ̄ ̄ ̄ ̄

 날짜  외국인  기관  개인

07-09  132 억  130 억  -273 억

07-08 -29.81 억  -124 억  133 억

07-05  20.92 억  217 억  -254 억

07-04  -143 억  159 억 -43.11 억

07-03  -158 억 79.86 억  42.31 억

07-02  -233 억  279 억 -96.13 억

07-01  139 억  348 억  -508 억

06-28  -150 억 55.71 억  54.68 억

06-27  -236 억  -188 억  421 억

06-26  -241 억  -115 억  319 억


🟩 셀트리온 2Q24 Preview

□ 우려는 그만 지금은 살 때

⬛️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할 실적

- 매출 8,057억원(+53.8% YoY, 이하 모두 YoY), 영업이익 709억원(-61.3%, OPM 8.8%)을 전망

- 컨센서스 대비 각각 3.7%, 4.3% 상회하는 수준

- 바이오시밀러 매출(7,219억원, +213.1%) 증가가 성장 요인이며 인플렉트라, 램시마, 램시마SC의 실적 기여도가 높을 것

- 특히 인플렉트라의 경우 유럽 DP 생산 시설을 확보하면서 생산 병목이 완화됨

- 짐펜트라 매출은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인식할 전망

- 현재 투약 중인 1,800명 이상의 환자는 스타트업 프로그램 참여자이기 때문에 매출 비율이 현저히 낮음

- 비용 부담은 완화될 전망. 원가율은 53.8%로 46.2%로 전분기 대비 4.6%p 감소할 것이며 약 600억원의 PPA 상각 인식은 이번 분기가 마지막

⬛️ 밸류에이션 부담은 내려놓자

- 짐펜트라 성장 의구심과 밸류에이션 부담이 셀트리온 주가 상승을 저해하고 있음

- 하지만 미국 염증성장질환 시장과 짐펜트라와 동일 선상 제품들의 매출 성장세를 보면 우려는 불필요

- 짐펜트라는 2030년까지 CAGR 55%로 성장하며 2030년 한 해 27억달러 매출을 기록하는 블록버스터로 성장할 전망

- 짐펜트라의 가파른 성장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인

- 주요 빅파마 기업은 12MF PER 19.4배로 거래되고 있는데, 평균 이상으로 거래되는 기업의 특징은 가파른 성장이 전망되는 블록버스터가 있다는 점

- 23배로 거래되는 리제네론(고용량 아일리아, 23~30F CAGR 65%), 28배로 거래되는 버텍스(벤자카프톨, 24~30F CAGR 91%), 62배로 거래되는 일라이 릴리(터제파타이드 및 리타트루타이드 합, 23~30F CAGR 36%)가 그 예

- 하지만 셀트리온은 24~30F CAGR 55% 성장하는 짐펜트라를 보유했음에도 프리미엄을 받지 못하고 있음

- 코스피 의약품 기업 평균 12F PER은 39배인데 셀트리온은 41배로 거래되고 있음

- 짐펜트라 성장성이 선반영되지 않았음. 목표 PER은 45배(유럽 램시마SC 승인 획득 당시)인데, 추가적으로 짐펜트라 3년차 가치 7.8조원을 비영업가치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적정 기업가치는 54.5조원. 목표주가 25만원을 유지

⬛️ 8월 중순 짐펜트라 처방 실적 확인 가능 전망

- 올해 짐펜트라 매출로 2,634억원을 전망

- 미국 궤양성대장염 가이드라인 중 유도 및 유지요법으로 권고되는 바이오의약품들의 첫 해 매출 평균을 그대로 추종한다고 가정

-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는 의약품 처방데이터

- 7월부터 익스프레스 스크립트를 통한 처방이 시작될 전망이기 때문에 8월 중순경에는 처방 실적을 확인할 수 있을 것

- 또한 3분기 중에는 또 다른 주요 PBM에 선호의약품으로 등재될 필요가 있음

- 계약 후 실제 판매/처방 시작은 한 개 분기의 준비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빠른 등재가 필요


■ 해당리포트는 아래 첨부합니다

램버스(118)

작성글검색
감사
38
[{"p_seq":0,"seq":234,"status_code":0,"o_seq":118,"file_loc":"F240709f9e0e991-e6b5-4043-8beb-5b2669349f46","file_name":"셀트리온 2Q24 Preview 우려는그만 지금은살때.pdf","file_size":602982,"date":"2024-07-09 16:27:14"}]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