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격의 거인; 목표주가 28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셀트리온
□ 반격의 거인
출처: 미래에셋 제약/바이오김승민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8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목표주가는 신약 짐펜트라 기반 본격적으로 이익이 개선되는 25년 EBITDA 2.2조원에 EV/EBITDA 27x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산출했다. 25년 EBITDA 2.2조원의 근거는 짐펜트라의 상업적 성공이다. 우리는 25년에 짐펜트라 매출액이 1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 EV/EBITDA 27x는 미국 주요 신약 업체(릴리, 노보, 버텍스, 리제네론)들의 평균이다.
우리는 셀트리온이 신약 업체로 변모하는 구간에 있다고 판단한다. 시밀러 비즈니스 멀티플로 바라보는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자. 짐펜트라(Infliximab SC)는 시밀러가 아니라 신약이다. 미국에서 CPI에 연동되어 가격 인상이 가능하고, 리베이트/할인도 시밀러처럼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다. 환자 수 증가에 따른 급격한 실적 성장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한 셀트리온의 예상 EBITDA 마진율, 성장률은 산도즈, 오가논 등 시밀러 업체와 비교 불가하다. EBITDA 마진율은 주요 신약업체(릴리, 노보, 버텍스, 리제네론 등)와 비슷한 수준이며, EBITDA 성장률은 오히려 능가한다.
⬛️ 실적 전망
2024년 매출액 3조 4,539억원, 영업이익 7,807억원을 예상한다(vs. 컨센서스 매출액 3.5조원, 영업이익 6,600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높아졌던 매출원가율이 재고 소진과 신규 제품 생산에 따라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판권에 따른 PPA 상각(약 1,200억원)이 상반기에 완료되며 하반기 가파른 이익 성장이 가능하다. 24년 짐펨트라 매출액은 2,880억원으로 추정한다.
2025년 매출액 4조 8,905억원(+42% YoY), 영업이익 1조 9,651억원(+152% YoY)을 예상한다(vs. 컨센서스 매출액 4.3조원, 영업이익 1.5조원). 연간 평균 환자수 3만 2천명을 가정해 짐펜트라 매출액을 1조 937억원으로 추정한다. 램시마IV, 트룩시마의 매출 감소를 예상하나, 유럽 램시마 SC의 지속적인 성장, 유플라이마, 베그젤마의 고속 성장, 신규 바이오시밀러 졸레어, 악템라, 스텔라라 시밀러 출시에 따른 탑라인 성장과 이익 개선이 예상된다.
▶ 집펜트라 상업적 성공 예상
▶ 미국 시밀러 시장 긍정적 변화 조짐
▶ 바이오시밀러 신규 파이프라인 및 포트폴리오 경쟁현황
🟨 참고
해당보고서 첨부하고싶지만 용량이 5mb이상으로 첨부할 수가 없네요 아래 링크에서 확인,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https://band.us/band/88457085/post/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