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온실가스 배출, 2045년까지 100% 감축 목표"

https://v.daum.net/v/20240627104217385?from=newsbot&botref=KN&botevent=e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바이오의약품 개발 기업 셀트리온이 오는 2045년까지 직·간접 온실가스 100% 감축을 목표로 한다.


셀트리온은 지속가능한 경영 전략 및 성과를 담은 ‘2023/24 셀트리온 ESG 보고서’(이하 ESG보고서)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보고서를 발간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셀트리온은 지난해부터 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의 경영 활동과 재무적 성과를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GRI(국제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 요건에 맞춰 작성됐으며, IFRS(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SASB(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 TCFD(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 권고안 등의 글로벌 공시 트렌드를 반영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진행한 이중 중대성 평가는 기업의 경영활동이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외부 환경·사회 요인이 기업의 재무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양방향으로 고려해 주요 이슈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 혁신 ▲의료접근성 향상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3가지 핵심 이슈를 포함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과 관련된 10대 주요 ESG 이슈를 도출, 그 성과 및 목표를 소개하고 각 분야별 관리 현황에 대해 수록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2045 탄소 중립 로드맵을 수립해 2022년 기준연도 대비 2030년까지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1)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2)을 42% 줄이고, 2045년까지 10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연구개발 혁신으로 환자의 삶을 개선하고 의약품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소외계층 환자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과 청사진을 제시했다.


셀트리온은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피하주사(SC) 제형인 ‘짐펜트라’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 판매 허가를 획득해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가 취약계층의 의약품 접근성을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3공장 완공으로 총 25만 리터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확보한 셀트리온은 향후에도 바이오의약품 수요증가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생산 공장을 증설, 생산 확대를 통한 의료접근성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남은 부분에 기사는 링크로 보시어요~^^

수지정(33)

작성글검색
감사
25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