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트루다SC제형은 반쪽짜리, 그 이하일듯.
키트루다 단독요법만큼이나, 세포독성항암제와의 병용요법으로도 많이 쓰입니다.
즉, SC제형의 쓰임새가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 같아요. 세포독성항암제가 있어서, 어차피 정맥주사나 중심정맥관으로 주입할테니, 굳이 SC제형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요..
의약픔 안전나라 효능효과 참고하세요~^^
이런식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201501487aupdateTs2024-05-21%2017:32:32.399717b
비소세포폐암
1. EGFR 또는 ALK 변이가 없는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로서 페메트렉시드 및 백금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2. 전이성 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로서 카보플라틴 및 파클리탁셀(혹은 알부민 결합 파클리탁셀)과의 병용 요법
3. PD-L1 발현 양성(Tumor Proportion Score(TPS)≥50%)으로서, EGFR 또는 ALK 변이가 없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
4. PD-L1 발현 양성(TPS≥1%)으로서, 백금 기반 화학요법제 치료 도중 또는 이후에 진행이 확인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다만 EGFR 또는 ALK 변이가 확인된 환자는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이러한 변이에 대한 승인된 치료제를 투여한 후에도 질병의 진행이 확인된 경우여야 한다.
5. 절제 가능한(종양 크기 4 cm 이상 또는 양성 림프절)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로서 수술 전 보조요법(neoadjuvant)으로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과 병용 요법, 그리고 이어서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으로 단독 요법
6. 절제술과 백금 기반 화학요법제 치료를 받은 IB기(T2a ≥ 4cm), II기 또는 II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으로서 단독 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