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W2024 소식 외

오늘 하루도 수고하세요


🟩 DDW2024 소식


금일 새벽 장질환 학회에서 셀트리온의 짐펜트라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학회 마지막날 오후 세션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모였네요. 오전에 다른 빅파마 세션에 같은 장소에서 10~15명 남짓 사람이 모였던 것과 간접 비교 되는 부분입니다좋은 질문과 제품에 대한 관심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DDW 2024 Posters Evaluate Safety, Efficacy, Impact of BMI on Zymfentra Use

May 21, 2024

크론병에 대한 피하 인플릭시맙 제품인 Zymfentra를 정맥내 인플릭시맙 치료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현재 진행 중인 LIBERTY

-CD 시험에 대한 소화기 질환 주간(DDW)의 포스터는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뿐만 아니라 체질량 지수의 영향도 보여줍니다.

크론병(CD)에 대한 피하 인플릭시맙 제품인 Zymfentra를 정맥내 인플릭시맙 치료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현재 진행 중인 LIBERTY-CD 시험을 살펴보는 소화기 질환 주간(DDW)의 포스터는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은 물론, 임상 결과에 대한 체질량 지수(BMI). 회의는 2024년 5월 18일부터 5월 21일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됩니다.

🟩 LIBERTY-CD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메타 분석

첫 번째 연구는 LIBERTY-CD 연구의 데이터를 포함한 메타 분석으로, 유사한 모집단을 대상으로 유사한 약물에 대한 다른 분석과 비교하여 유지 요법 또는 1차 요법으로 Zymfentra를 조사했습니다. 1

짐펜트라(infliximab-dyyb)는 2023년 10월 FDA 승인을 받아 2024년 3월 출시됐다 . 미국에서는 새로운 생물학적 제제로 승인됐지만, 투여 방식의 변화로 인플렉트라( infliximab-dyyb; 일부 시장에서는 Remsima로 알려짐), 동일한 회사(Celltrion)에서 만든 infliximab 바이오시밀러입니다. 이 제품은 CD 및 궤양성 대장염 치료용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치료법의 범위가 확대되고 직접적인 비교 증거가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유럽이나 미국에서 승인된 고급 CD 치료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3상 무작위 대조 시험(RCT)의 네트워크 메타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통해 유도 요법에 반응한 중등도 내지 중증 크론병 환자에서 정맥내(IV) 또는 Zymfentra, SC adalimumab, IV 또는 SC vedolizumab, SC 우스테키누맙, SC 리산키주맙 또는 경구용 우파다시티닙을 사용한 유지 요법을 평가하는 연구를 확인했습니다. 포함된 연구는 52~64주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위약 또는 활성 대조 연구였습니다. 환자들은 생물학적 경험이 없으며 1차 고급 치료법으로 이러한 약물을 투여받았습니다. 네트워크 메타 분석에서는 빈도주의 무작위 효과 모델을 사용하여 임상적 관해와 내시경 반응률을 종합했습니다.

14개의 치료군을 포함하는 9개의 RCT(ACCENT I, LIBERTY-CD, CHARM, SEAVUE, GEMINI 2, VISIBLE 2, IM-UNITI, FORTIFY, U-ENDURE)가 적격이었습니다. 2주마다(Q2W) SC 인플릭시맙 120mg은 임상적 관해 달성에 있어 위약 대비 가장 높은 위험 차이(RD)를 나타냈고(RD, 0.38; 95% CI, 0.23-0.53), 이어서 SC 아달리무맙 40mg을 매주(RD, 0.32; 95% CI, 0.17-0.48) 및 경구용 우파다시티닙 30mg 매일(RD, 0.30; 95% CI, 0.08-0.53).

LIBERTY-CD, FORTIFY 및 U-ENDURE의 내시경 반응 데이터에 따르면 SC 인플릭시맙 120mg Q2W는 내시경 반응에 있어서 위약에 비해 가장 높은 RD(RD, 0.39; 0.29-0.49)를 나타냈고, 그 다음은 8주마다 SC 리산키주맙 180mg( Q8W)(RD, 0.37; 95% CI, 0.17-0.56) 및 SC 리산키주맙 360mg Q8W(RD, 0.27; 95% CI, 0.06-0.48). 네트워크 메타분석 결과, Zymfentra 120mg Q2W는 중등도에서 중증 크론병 환자의 유지 치료를 위한 1차 선진 치료법으로 임상적 관해 및 내시경 반응을 달성하는 데 유리한 효능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Zymfentra 사용과 관련된 임상 결과에 대한 BMI의 영향

또 다른 연구에서는 CD의 Zymfentra 사용과 관련된 임상 결과에서 BMI의 역할을 조사했습니다. 2

비만과 높은 수준의 내장 지방 조직은 IV infliximab에 대한 낮은 반응률과 관련이 있습니다. 새로운 제제인 SC 인플릭시맙은 제3상 LIBERTY-CD 연구에서 중등도~중증 활동성 CD 환자의 유지요법으로 위약보다 우월성을 입증했다. SC 인플릭시맙은 BMI와 관계없이 고정 용량으로 투여되기 때문에 다양한 BMI 범주에 걸쳐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후 분석에서는 BMI와 SC infliximab 요법의 효능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LIBERTY-CD(NCT03945019)의 데이터에는 BMI에 따라 저체중(BMI < 18.5kg/m 2 ; n = 27), 정상(BMI 18.5-24.9kg/m 2 ; n = 133) 으로 분류된 SC infliximab군 환자 231명이 포함되었습니다. ), 과체중(BMI 25-29.9 kg/m 2 ; n = 53) 및 비만(BMI ≥ 30 kg/m 2 ; n = 18) 그룹입니다. 54주차의 공동 일차 종료점(크론병 활동 지수[CDAI] 점수 < 150으로 정의된 임상적 완화 및 기준선 대비 크론병 단순 내시경 점수[SES-CD]가 ≥ 50% 감소한 것으로 정의되는 내시경 반응) ) 및 기준선 대비 CDAI 점수의 변화를 BMI 하위 집합으로 평가했습니다. BMI와 CDAI 점수, SES-CD 또는 인플릭시맙의 최저 수준 중앙값(TLI) 사이의 상관관계, 그리고 54주차 TLI에 대한 BMI의 영향도 기술적으로 분석되었습니다.

54주차에는 BMI 하위 집합 전반에 걸쳐 공동 일차 종료점 또는 CDAI 점수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경향은 BMI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종료점 달성 비율, CDAI 점수 변화 및 TLI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상적 완화율은 63.0%(저체중), 66.2%(정상), 58.5%(과체중), 44.4%(비만, P = .125)였습니다.

내시경 반응률은 55.6%(저체중), 36.1%(정상), 41.5%(과체중), 27.8%(비만, P = .207)였습니다. CDAI 점수의 기준선 대비 중앙값 변화는 –227.3(저체중), –212.9(정상), –196.2(과체중), –204.5(비만; P = .358)이었습니다. BMI와 CDAI 점수 또는 BMI와 SES-CD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은 반면, BMI와 TLI 간에는 약하지만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BMI 하위 집합 전체에서 54주차 TLI 중앙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습니다(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각각 17.0, 13.6, 9.3, 6.6μg/mL; P = .007).

TLI는 BMI 하위 집합에 따라 상당히 다양했지만 BMI는 54주차 임상 또는 내시경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아마도 SC infliximab으로 달성한 높은 TLI 때문일 것입니다. 저자들은 BMI가 높고 신체 구성이 다양한 환자를 포함하는 더 크고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참고자료

1. Schreiber S, Danese S, Colombel JF, 외. 중등도~중증 크론병 성인 환자의 유지 치료를 위한 1차 치료법으로서 첨단 치료법의 비교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네트워크 메타 분석. 발표 장소: DDW 2024; 2024년 5월 18~21일; 워싱턴 DC. 포스터 Mo1175.

2. Yarur A, Hanauer SB, Schreiber S, 외. 피하 인플릭시맙으로 유지 치료를 받는 크론병 환자의 임상 결과 및 약물 수준에 대한 체질량 지수의 영향: LIBERTY-CD 연구의 사후 분석. 발표 장소: DDW 2024; 2024년 5월 18~21일; 워싱턴 DC. 포스터 Su1755.

https://www.centerforbiosimilars.com/view/ddw-2024-posters-evaluate-safety-efficacy-impact-of-bmi-on-zymfentra-use

https://www.celltrion.com/ko-kr/company/media-center/press-release/3237


🟩 하반기 K-블록버스터가 나온다


단기 실적 부진 및 R&D 모멘텀 부재로 제약/바이오 업종 주가 부진. 하반기 실적 개선 및 R&D 모멘텀 회복으로 주가 기대감 높아질 것으로 전망


⬛️ 헬스케어 업종 : 하반기 상승 기대: 커버리지 기업의 1Q24 실적에 대한 아쉬움에 이어, HLB항암제에 대한 FDA 승인 거절 및 5월 FOMC 회의이후 금리 하락에 대한 옅어진 기대감으로 인해 헬스케어 업종 주가는 부진하다. 금리 방향성을 예측할 수 없으나,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는 바이오 업종에 우호적일 것으로 예상하며, 6월 ASCO, ADA, 2H24 ESMO, WCLC, SITC 학회에서 임상 결과 발표를 통해 R&D 모멘텀 회복과 더불어 커버리지 기업의 실적

개선도 기대된다.


🟥 바이오의약품 Top pick으로 셀트리온 제시


셀트리온은 총평균법 매출 원가 평가 방법으로 2분기부터 매출 원가율 점진적 개선될것으로 전망되며, 하반기에는 짐펜트라 처방 확대로 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된다.


📍관련 리포트는 아래 첨부


🟨관련뉴스

https://naver.me/5ip2x8x9


🟩 바이오시밀러 소식


🟩 테바/알보텍, 애브비 휴미라 시밀러 출시

테바/알보텍 상호 교환 가능한 바이오시밀러 Simlandi 미국 출시 Payer와 협의 중.

⬛️ 참고 ----------------------------------------------------

✔️삼성바이오 휴미라BS 상호교환 변경 FDA 허가 신청(’23.11월)

✔️셀트리온 휴미라BS 상호교환 변경 FDA 허가 신청(’24.1월)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4/05/21/2885215/0/en/Teva-and-Alvotech-Announce-SIMLANDI-adalimumab-ryvk-Injection-Now-Available-in-the-U-S.html

램버스(118)

작성글검색
감사
57
[{"p_seq":0,"seq":207,"status_code":0,"o_seq":118,"file_loc":"F240522bec3b079-f81d-4d54-acc6-e7df16b6c199","file_name":"삼성증권_산업_의료 서비스_20240521154454_2024_05_22_08_28_37.pdf","file_size":456196,"date":"2024-05-22 08:34:41"}]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