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발표에서... 나의 원픽은...?

합병의 기대효과로서 언급되었던 것이 1. 거래 구조 단순화를 통한 투명성 제고, 2. 매출 원가율 하락, 3. 통합을 통한 투자 여력 확대였습니다. 제 생각에 합병의 실질적인 의미는 2. 매출 원가율 하락입니다.


합병을 발표할 때와 합병한 이후에 나온 기사들을 보면 "현재(과거시점임) 약 70%에 달하는 매출 원가율은 합병 이후 40% 수준까지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나옵니다.

또한 합병발표 이후 있었던 온라인 간담회에서 “합병에 따른 매출 원가율 변화를 어떻게 예측하냐?” 라는 질문에 서정진 회장님이 40% 수준일거고 24년 이후부터 더 떨어질 것이라 답했습니다.

대신증권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4년 합병 셀트리온의 매출원가율을 47.7%로 예상했습니다. 다른 증권사들도 이정도로 예상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실적발표에 따르면 매출원가율이 24년 4분기 30%대에 이를 거라 예상한다고 합니다. 저는 이것이 핵심이라고 봅니다. 합병을 통한 시너지의 핵심은 매출원가율 하락을 통한 가격경쟁력과 시장지배력의 확대, 매출 증대에 있었으니까요~ 23년 70% 초반대의 매출원가율에서 합병 1년 만인 24년 말에 이보다 크게 낮아진 30%대의 매출원가율로 변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산술적으로만 보면, 현재의 매출 현황과 매출 증대의 수준만 유지해도 영업이익이 100% 증가하는 것입니다. 매출원가율이 낮춰지면 가격경쟁력이 매우 좋아져서 매출 증대가 크게 증가할 것이고 이는 다시 영업이익의 증대를 가져오겠죠~ 긍정의 선순환!!!

그리고 이렇게 되면 재고자산의 빠른 처리에도 매우 효과적일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정확한 수치가 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어림잡아 24년 4분기에 높은 매입원가인 기존 재고가 40% 정도의 비중에도 매출원가율이 30%대에 이른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5년 말에는 기존 재고는 다 처리되고 20%대의 원가율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면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시장점유율이 늘어나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입니다.




오늘 23년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누구에게는 실망스러울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실망스럽지 않습니다. 예상되었던 일이었구요~ 누구의 말을 빌리자면 악재가 소멸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는 모든 변수에 선행한다고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2023년의 실적을 보고 현재 셀트리온의 주가를 평가하거나 주가가 높다고 매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겠지요~ 앞으로의 매출 및 영업이익의 증대를 예상하고 경쟁력 있는 새로운 제품들의 개발 능력과 현황, 가능성을 보고 주가를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 기관이 약 13만주 매도, 외국인이 약 38만주 매도를 하였고 개인이 약 51만주 매수를 하였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오늘 대량 매도를 한 이유가 셀트리온의 펀더멘털과 성장성, 미래 가치를 형편없다고 생각해서 매도했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누구는 음모론이라 할 수 있으나 저는 겉으로 보이는 안좋은 실적발표를 이용한 개미털기라고 봅니다. 왼쪽 주머니에서 오른쪽 주머니로 주식을 옳긴 것을 뿐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리 넉넉한 상황이 아님에도 오늘 기쁜 마음으로 10주를 추매 했습니다.


감자아빠(1951)

작성글검색
감사
58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