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i Conference Call 소개 [2화]
본론 바로 들어갑니다.
아래 표의 내용은... 과거 데이터에 따르면 더 높은 약물 용량으로 효능과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경구형의 편의성과 함께 매일 투약을 하는 고농도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했고 그 자료의 내용이 아래와 같네요~ 만약 12mg을 매일 30일 복용하면 12주에서 PASI 75인 환자의 비율이 81%에 도달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다고 하네요~ 연분홍색은 스텔라라의 최초 및 유지치료 요법을 했을 때 약물 농도를 나타냅니다. 참고로 스텔라라의 경우 12~16주에서 PASI 75인 환자의 비율은 66~76%입니다.
그리고 스텔라라 SC 유지요법(12주마다 1회 SC주사)의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즉 유지유법을 위해 SC를 맞은 후 12주가 되기 전인 약 10~12주 사이에는 목표 약물 치료 농도인 0.7㎍/ml 보다 낮아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RaniPill을 통해 투약 하는 것을 시뮬레이션 하면 이 농도 밑으로 낮아지지 않게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최고와 최소 농도 사이의 차이를 줄여 변동성을 낮추고 약물 농도의 밴드를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얘기같습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30일 동안 12mg을 매일 투약하고 유지요법을 위해 매달 3일 투여를 했을 때의 결과입니다. 음... 임상 1상이 끝나면 2상과 3상이 있을텐데... 아마도 이 자료에 기초하여 후속 임상이 계획될 것 같네요~
다음은 셀트리온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뭐 이런내용 같고...
이게 RaniPill의 궁국적인 목표를 정리한 것 같네요~ 단일클론항체의 우수한 효능(Efficacy)과 긴 반감기(Long Half-Life), 안전성(Safety) 그리고 경구형 알약의 편의성(Convenience)와 투약 유연성(Dosing Flexibility), 환자 선호도(Patient Preference)를 싸그리 합쳐서... 금이빨 빼고 모조리 씹어먹어줄게~ 뭐 이런 내용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