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바꼭질]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

최근 자사주의 똥침에도 불구하고 주가 상승이 시원하게 이뤄지고 있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11월 24일(금)에는 2.83%(4,900원)하락하였는데 이를 두고 주가 조정? 혹은 단기 수익매물의 증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무튼 요즘 주식정보에서 거래원 정보를 확인하는데... 삼성증권과 한국증권 등 몇몇 증권사의 매매동향에서 순매도량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생각을 해 봤는데... 증권사는 단지 개인투자자 등이 본인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써 별도로 증권사 자체의 매매는 그리 크지 않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증권 사이트에서 최근 60일, 20일, 5일의 매도 및 매수 상위 거래원 정보를 보여줍니다. NH투자증권은 자사주 구매창구로서 별개로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60일 보다는 20일, 5일로 기간이 짧아질수록 특정 증권사의 매도량과 매수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기간이 길어지면 매도량과 매수량은 비슷해져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이유는 특정한 증권사에 계좌를 갖고있는 사람들이 장기간 매도만 또는 매수만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하루에도 매수하는 사람이 있다면 매도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입니다.


60


60일 데이터를 보면 미래에셋증권이 약 290만주 매도를 하고 245만주 매수를 하여 약 45만주의 순매도를 보였습니다.

신한투자는 매도량과 매수량의 차기가 1만주 정도로 거의 유사합니다. 키움증권은 약 15만주 차이를 보이는데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KB증권은 약 30만주 순매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증권은 약 168만주 매도인데... 매수상위에 보이지 않아 뭐라 말하긴 어렵네요~ 아무튼 매도 우위인 것은 확실합니다.


20


20일 데이터를 보면 미래에셋증권이 약 45만주 차이의 매도우위를 보였습니다. 이는 60일의 순매도 45만주와 같은 수치로 60일 중 최근 20일 안에 45만주의 대량 순매도를 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네요~

최근 주가상승을 더디게 만든 주요 거래원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순매도량이 약 4만주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런데... 삼성증권이 보이질 않네요~


다음은 5일 데이터입니다.

삼성증권은 최근 5일 순매도 약 20만주를 보여주고 있으며, 매수상위 5위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최근 20일 데이터에서 보이지 않던 삼성증권이 5일 데이터에서는 순매도 1위에 등극했네요~


5


음... 그래서 대표적으로 거래원 중 삼성증권의 최근 1년 매매정보를 확인해 봤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삼성증권의 최근 1년 동안의 1개월 단위 매매동향입니다. 특이할 만한 점은 23년 9월까지는 매도량과 매수량이 별반 차이가 없는 것 같은데 이 후에 매도우위를 보입니다.


1


2


보다 쉽게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1일단위의 순매수 누적 그래프를 그려봤습니다. 순매수 누적 그래프이다보니 기간이 길어질수록 방향성을 바꾸기 위해서는 더 큰 매수량 또는 매도량이 필요합니다.


3


23년 6월까지의 매매동향은 일반적이라 할 수 있지만...

6월 22일경에 큰 폭의 대량 순매도가 발생하여 7월 17일경까지 지속 매도가 이뤄집니다. 이 후 10월 6일정도까지 변동이 크게 없거나 일부 매수를 시작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10월 6일부터 11월 24일까지 현재까지 약 66만주라는 엄청난 매도폭단을 지속합니다. 23년 10월과 11월 37거래일 동안 단 4일 순매수하고 33일을 순매도하였습니다.

총 67 거래일에 대해 비율로 보자면 약 90%가 순매도를 보였으며, 단지 10%가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해당 순매수 거래일의 순매수 주식도 10월 5일 23,739주, 10월 11일 5,152주, 10월 18일 1,619주, 11월 24일 2,006주에 불과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방향성을 바꾸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매매량이 필요한데 10월부터의 기울기가 아래로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보면 매도폭탄을 떨구고 있는 겁니다.

참고로 삼성증권을 통한 최근 1년의 순매수는 83만주 매도로 나옵니다.


이게 정상적일까요? 제가 셀셀님 매매동향 게시글에 거래원에서의 특정 거래원이 갖는 의미를 아시는 분이 있는지 여쭤봤었습니다. 특별한 댓글이 없었는데요~

만약 거래원으로서 특정 증권사가 개인투자자들의 계좌가 보유된 곳이고 특정 증권사의 매매동향이 개인투자자들의 매매동향을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라면...

삼성증권에 계좌를 갖고있는 개인투자자들은 최근 2개월간 셀트리온을 66만주를 순매도하였을까요?

삼성증권에 계좌를 두고 있는 개인투자자들의 평단가는 과연 얼마기에 10월 6일경부터 주식을 계속 대량으로 순매도하여 수익을 창출한 것일까요?

전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23년 10월 5일은 전일대비 3.02% 하락하여 131,000원의 주가를 보인 날입니다. 그리고 10월 5일 최저가격을 찍고 10월 6일부터 셀트리온의 주가는 계속 우상향하여 왔습니다.

아래는 이 기간의 일단위 주가 그래프입니다. 저는 거래원 중 삼성증권의 매매동향은 주가상승을 막기 위한 매도폭탄으로 보입니다. 제가 음모론을 제기하는 것일까요?


8


아래의 그림은 최근 1년(22년 11월 25일 ~ 23년 11월 24일)동안 247거래일의 일별 셀트리온 주가 그래프와 삼성증권의 일별 순매도 누적 그래프를 겹쳐놓은 것입니다.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이상하게도...

셀트리온의 주가가 하락할 때는 삼성증권 창구를 통해 매수가 많아지고 주가가 상승할 때는 삼성증권 창구를 통한 매도가 많아지는 것으로 보이네요.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으나 셀트리온의 주가 그래프와 삼성증권 순매도의 그래프가 서로 반대로 움직입니다.

삼성증권에 계좌를 갖고있는 개인들은 현명하여 주가하락 시기에 주식을 매수하고 주가상승기에 주식을 매도하여 투자수익을 얻는 현명한 투자자들일까요?

타 증권사의 매매동향을 보질 않아서 확언할 수 없지만...

주가가 하락할 때는 매수를 늘려 놓았다가 주가가 상승할 때에 매도를 하여 셀트리온의 주가상승을 막고 있는 것으로 저는 보입니다. 특히나 23년 10월 6일이후부터는 아주 드라마틱합니다.


만약 셀트리온의 주가 상승시기에 매도폭탄을 때리는 것으로 의심되는 주요 증권사들의 매매동향을 삼성증권처럼 분석하고 이들 증권사들의 매매동향을 합산하여 셀트리온의 주가 변화와 비교하여 본다면 보다 명확해지겠지요~

저는 핸드폰으로만 주식을 보기 때문에 삼성증권 매매동향 데이터는 핸드폰에서 일일이 엑셀로 옮겨서 정리하여 분석하였습니다. 혹시 의심스러운 증권사들 몇곳의 데이터를 가지고 계신분이 있다면 제게 주시면 시간될 때 분석해보겠습니다.

후하~


P.S.

1. 참고로 최근 이뤄진 자사주 매입의 영향도 있을 수 있습니다.

2. 오류를 확인하신 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감자아빠(1951)

작성글검색
감사
74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