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 때는 반드시 온다".

"밀물 때는 반드시 온다".

미국의 '강철왕' 앤드류 카네기는

스코틀랜드 던펌린의 태어나

14세 때 가족들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지만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학교라고는 겨우 4년간 다닌 것이 전부였기에

젊은 시절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방문판매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가 어느 날

한 노인의 집을 방문했는데


집에 들어서자마자

벽 한가운데 걸린 그림이

그를 완전히 압도했습니다.


유명한 화가가 그린 것도,

오래된 골동품도 아닌

그 그림은 특별히 화려하지도 않았습니다.


썰물로 바닥이 드러난 해변에

쓰러질 듯 놓여있는

초라한 나룻배 한 척이 그려진 그림은

쓸쓸하고 왠지 모르게 우울한 기분마저 들었지만

그림 밑에

이런 글귀가 쓰여 있었습니다.

The high tide will come. On that day, I will go out to the sea.

(반드시 밀물 때는 온다. 바로 그날, 나는 바다로 나갈 것이다.)

글에 압도당한 카네기는 집에 돌아와서도

그 그림 생각으로 잠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늘 머릿속에 그림을 담고 다니던 그는

28세에 노인을 찾아가

노인이 세상을 떠날 때

그 그림을 자신에게 달라고 간곡하게 부탁했고

카네기는 평생 그 그림을 가까이 두면서

'반드시 밀물 때는 온다.'라는 글귀를 자신의 생활신조로 삼았습니다.

​우리는 흔히 '포기하지 않고 버티는 자가 이기는 자다.',

'버티기만 해도 잘하는 것이다.'라고 말합니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내리막길이 있으면 오르막길이 있고

밤이 있으면 낮이 있는 법입니다.

"반드시 밀물의 때는 옵니다".


지금의 상황이 썰물같이 황량하다 해도

낙심하지 말고 밀물 때가 올 것을 기다리면서

노를 젓기 위한 준비를 하는 사람만이 성공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좋은 기회를 만난다.

다만 그것을 포착하는 시기를 맞추기 어려울 뿐이다.

- 앤드류 카네기 -


황금거위셀트(2323)

작성글검색
감사
36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