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율 하락 늦은이유

사측발표 보다 원가율이 안되는 이유

범인-->짐펜트라(가장큰 이유)


셀트리온헬스케어 재고물량-->셀트마진이 포함된 금액(통상적으로 30%마진)


셀트+셀케-->합병-->셀케보유 재고물량은 30%높은 금액


셀트매출-->셀케재고물량+셀트생산재품-->믹스판매-->전체원가율 20%정도 상승


사측은 원가율 하락을 자신했던게

고가.고마진 짐펜트라 매출이 높아지면

전체 원가율을 크게 낮추게됩니다

즉 짐펜트라 매출이 너무 낮기때문에 사측의 생각되로 원가율 하락이 안되고있음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스테키마-->고가.고마진 제품 매출발생이 높을수록 원가율 하락은 빠르게 진행


※짐펜트라 매출※

증권사 3500억-->출시 2년째 매출

절대 낮은 매출아님-->출시4년째(27년)

매출1조 예상


1년전 기사

보시면 짐펜트라 매출부진

불가사의한 일

ttps://naver.me/5YSUgtv6


짐펜트라 매출

2025년 4천억 ~5천억(글씀)

3500억 절대 낮은매출 아닌데

문제는 너무 높아진 눈높이가 문제(사측책임)

매년 일정기간 매출상승은 확실

여기에 류마티스관절염 적응증확장(임상진행중) -->추가 적응증확장 지속


휴미라 볼까요

2003년 출시후 누적매출270조(상상초월 매출)

11년째-->매출10조돌파

첫출시 적응증 5개--->지속적으로 적응증추가 25년 16개적응증


짐펜트라 적응증2개-->대장염 크론병

램시마IV 적응증6개-->대장염 크론병 류마티스관절염 척추염등

휴미라 적응증16개-->대장염 류마티스관절염 소아염 크론병 등


10년후 짐펜트라 적응증 램시마 적응증6개만 확장시켜도 매출은 급상승 할수밖에없음

시장에 뿌리내린 신약들은 대부분

특허만료 시기까지 매출상승 지속됨(적응증확장 큰이유)


※요점※

원가율-->고가 고마진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스테키마 매출상승하면 자연스럽게

원가율 하락

짐펜트라-->출시2년째.적응증확장 지속

시간이해결

펙트는 시간이해결


2분기 짐펜트라 매출 추정

5백억~8백억


◇펙트◇

매년 조단위 매출성장

매년 조단위 영업이익

이게 펙트

여기서 매출 및 영업이익 조금씩 덜 나온들

대세상승에 지장없음

매년 조단위 이상 폭풍성장 이게 중요

매년2~4개 신약 임상시작 이게 중요

매년 CDMO CRDMO 시작 이게중요

매년 현금배당 늘어남 이게중요

매년 자사주매입 소각 가능 이게중요

언제든지 M&A 가능 이게중요

대한민국 바이오기업중 이런기업 있나요

어찌보면 행복한주주 아닌가요


셀동행주주님

노후에도 주가15만원대 있을까요


키트루다 휴미라 엔허투 같은

신약개발 성공하면

어찌될까요

역경을 이겨내는것은

희망보다 좋은 약없음




인생이흐른다(1700)

작성글검색
감사
35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