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펜트라 매출액 추정
1. 자료출처
0 램버스님의 밴드와 씽크폴의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band.us/@rambus>
<https://m.thinkpool.com/stockDiscuss/068270/cont/11780183>
2. 짐펜 매출에 대한 회사의 입장
0 회사에서도 한투가 어떤 자료를 사용하여 짐펜트라 추정치(211억원)를 작성하였는 지 알지 못한다.
- 처방량은 증가하고 있다.
0 2025년 매출 5조 달성 가능 입장
3. 개인적으로 짐펜의 매출액 추정
0 램버스님의 밴드 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 전국 판매 전망(NSP, National Sales Perspectives): 소매, 우편, 비소매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의약품의 달러 및 단위 매출.
. 데이터는 제약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도매업체, 유통업체, 제약 제조업체 패널에서 수집되며, 전국적인 총 매출로 추산.
0 여기서 다음과 같은 가정 하에 계산하였습니다.
- 그래프에서 개략적인 숫자를 가져온다.
- 3월은 2월의 1.5배로 가정한다.(2월 중순 부터 주간 단위 약 10% 상승 가정)
- 원달러 환율은 약 4% 올랐다고 가정한다.
0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숫자가 나옵니다.(단위: 백만달러)
- 2024년 10월(3.8), 11월(3.9), 12월(6.0) => 총 13.7백만달러(280억원에 해당)
- 2025년 1월(4.8), 2월(5.5), 3월(8.25) => 총 18.5백만달러(비례적으로 394억원에 해당)
0 따라서, 한투의 211억원은 과소평가 된 것이 아닐 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 위의 그림에서 3월에 대한 숫자는 정확하게 유추할 수 없으나,
- 짐펜트라는 역성장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계산해 본 것입니다.
- 당연히 절대적인 수치는 회사가 발표하기 전 까지는 알지 못합니다.
여러분 모두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실행해야 합니다.
--------------------------------------
ps) 셀트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