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폭 과대라고 생각합니다.
0 오늘 15.4를 보고 말았습니다.
- 저는 이를 낙폭과대라고 보고 있습니다.
- 설령 25%의 관세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그렇습니다.
0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먼저, 생산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최소 2년이 필요하고, 일반적으로는 5~10년이 걸립니다.
- 그렇다면, 앞으로 2년 동안 매출은 시장 켄센서스 보다는 많이 나올 것입니다.
0 셀트는 미국에서 약 30%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 관세가 도입된다면, 본격적으로 매출에 영향을 주는 해는 2년 후인 2027년 부터입니다.
- 관세가 도입되어 미국에서의 매출이 20% 감소하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짐펜트라의 경우는 신약이여서 전체 매출에서 10%는 가져갈 수 있다고 가정해 보았습니다.
0 연도, 시장 켄센서스(매출, 단위: 조원), 최저가격(주가)를 살펴보겠습니다.
0 그래서 관세가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연도 기준으로는 앞으로 매출은 4.5조 이상은 할 것입니다.
- 매출이 2.2조일 때 12.3이 최저 가격이였으니, 매출 4.5조 이상에서는 이보다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금은 저점 부근대라고 생각합니다.
0 두번째 이유는, 지금의 가격은 셀트리온의 회계이슈 때의 가격입니다. 거래정지니, 상장폐지를 운운하던 때의 가격입니다.
- 즉, 2022년 2월 때의 가격으로 회귀하였습니다.
- 전 회계이슈 보다 더 큰 리스크를 알 지 못합니다.
- 그러하니, 셀트 회사도 이 만큼 주가가 하락한 것에 대하여, 면밀한 원인 파악과 더불어, 주가 안정화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주기를 바랍니다.
0 지금 속보로 중국이 미국에 34% 부과하였던 관세를 84%로 인상하였습니다.
- 관세의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셀트의 주가는 저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0 레버리지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자금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이 들고, 중장기 투자자는 그려러니 하시고 시간이 지나가면 해결될 문제라 생각합니다.
- 위의 의견은 순전히 개인적인 견해임으로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실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