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관세 협상이 잘 진행될 듯 생각합니다.
<참고> 트럼프 소셜미디어
https://truthsocial.com/@realDonaldTrump
0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이 잘 진행될 듯 보입니다.
- 우리나라는 수출을 줄이는 건 어려우니, 오히려 미국에서의 수입을 늘리는 전략을 사용하였습니다.
- 우리가 가지고 있는 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산 LNG 수입 증가, 알래스카 조인트 벤처 투자, 조선, 방위비 부담
0 그리고 중요한 것은 트럼프는 관세만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무역, 관세, 국방 등 제반 현안을 모두 아우르는 패키지 방식의 논의를 원하는 것 같습니다.
- 이를 '원스탑 쇼핑'이라고 표현했습니다.
-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Like with South Korea, we are bringing up other subjects that are not covered by Trade and Tariffs, and getting them negotiated also. “ONE STOP SHOPPING” is a beautiful and efficient process!!!
0 이 부분이 중요한 이유는 아직 발표되지 않은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가 한꺼번에 논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즉, 국가별로 모든 물품에 관세률이 정해지면, 별도로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고민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 트럼프가 원하는 것은 국가간 미국의 전체적인 무역 손실을 줄이는 데 있다면, 패키지 협상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
. 우리나라는 LNG(액화천연가스)를 어차피 수입해야 하니, 우리에게도 큰 손해는 아닐 수 있습니다.
- 이상은 물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0 하루 빨리 관세 리스크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합니다.
0 아직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 대해서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번 협상이 잘 진행되어 큰 무리없이 지나갔으면 합니다.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결정하세요>
--------------------------------------
ps) 셀트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