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파마의 주가 하락과 그 원인 추정

0 어제 밤 인도 제약사, 글로벌 빅파마의 큰 주가 하락을 맞았습니다.

- 그래서 관련 보고서를 찾아보고 그 이유를 찾고자 하였습니다.

- 주가 하락의 정도

. 미국) 바이오텍 ETF XBI -5.7%, 헬스케어 XLV -5.4% 하락

. 인도) 주로 복제약 회사의 주가는 -4%~-9%까지 하락

. 중국) 우시바이오 -5.3%


0 주가 하락의 이유는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 트럼프의 관세의 2가지 목적은 중국 견제생산 시설의 미국으로의 이전으로 정리되는 것 같습니다.


0 일단, 중국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은 관세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 우시바이오 등이 그 영향권에 들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0 두번째로, 관세의 영향을 피하려면, 글로벌 빅파마는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해야 합니다.

- 지금 글로벌 빅파마의 상당수의 생산시설이 유럽에 위치해 있습니다.

. 유럽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의약품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특히, 아일랜드가 관세의 위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국가별 미국 수입 비중 : 아일랜드(20%), 독일(10.7%), 스위스(8.5%), 인도(6.2%), 싱가포르(5.6%), 일본(3.7%)

- 미국은 인건비, 부동산, 금융, 물류, 세금 등 총생산비용이 높습니다.

. 생산 시설의 이전은 빅파마에게 큰 재정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0 따라서, 어제의 주가하락은 중국 기업생산 시설 이전을 염두해 두어야 하는 우시바이오, 인도 제약사, 글로벌 빅팜에서 나타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0 셀트의 경우는 다음의 보고서가 잘 정리해 놓은 것 같습니다.

- 출처 : DB증권(2025.3.4), 트럼프 2.0과 24년 변화구(變化球)

- 중요 부분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 미국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의 대부분은 영향이 크지 않다.(p.21)

- 직판 구조이기 때문에 공급 구조 변경이 자유로움

. 2025년 판매될 의약품의 DS(원료의약품) 물량을 미국 현지로 배송

. 현지 CMO를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 가능(p.28)

. 미국 내 생산시설 구축 고려

0 여기서 더 이상 반영될 악재는 없다(p.51)

- 목표주가 25만원 유지


0 글로벌 빅파마가 생산 시설 이전에 신경쓰는 동안, 셀트는 또 다른 기회를 찾을 수 있지 않을 까 예상됩니다.

- 회사는 2026년까지 관세의 영향이 미미하다고 합니다.

- 셀트의 약진을 기대해 봅니다.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결정하세요>

--------------------------------------

ps) 셀트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









seul**(579)

작성글검색
감사
66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