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의약품 관세 발언

1. 트럼프 의약품 관세 발언

0 트럼프가 의약품 관세에 대해 또 발언을 하였습니다.

- "조만간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별도 관세를 부과할 예정"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67846642132840&mediaCodeNo=257>

0 트럼프는 의약품 생산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하기를 의도하는 것 같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신약이나, 항암치료제 등 필수의약품인 경우는 관세를 부과할 수는 없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2. 주식시장의 영향

0 복제약 및 CMO 기업의 주가 하락

- 오늘, 인도의 복제약 회사의 주가는 -4%에서 -9%까지 하락하였습니다.

- 중국의 CMO 기업인 우시바이오의 주가는 -5.3% 하락하였습니다.

- 반면, 신약을 보유한 중국의 항서제약은 0.37% 상승하였습니다.

0 우리나라의 경우도, 오늘 셀트는 선방을, 삼바는 -3.9% 하락하였습니다.


3. 셀트의 대응은 적절해 보입니다.

0 기간별 대응

- 단기) 재고 확보, 원료의약품 미국내 반입 및 완제품 생산

- 중기) 지속적인 원료의약품 수출 및 미국내 완제품 생산

- 장기) 미국 내 생산기지 검토

0 셀케와의 합병으로 가격경쟁력을 가진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라 생각됩니다.

- 욕심이 난다면, 신약인 경우는 관세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도 있어서, 짐펜트라의 2025년 매출을 크게 높이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4. 정리하면,

0 의약품 관세 부과는 다양한 부작용과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 제조 비용 상승, 약가 상승, 생산 공장 이전(최소 2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

- 새로운 생산 기반 확보(하청 등 새로운 밸류 체인 구축)

0 의약품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트럼프도 쉽게 결정하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만약 도입된다면, 점진적인 안이 유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0 빠른 시간 내에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어, 기업의 경영과 시장에 안정이 찾아오기를 기대합니다.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결정하세요>

--------------------------------------

ps) 셀트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



seul**(579)

작성글검색
감사
56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