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관세 관련
의약품 관세 이슈가 중요한 것 같아, 외신을 보고 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0 트럼프) 의약품에 25% 관세 부과 발언, 내일 새벽 공식 발표
0 문제점
- 제약사, 환자에게 모두 피해 가능성
. 의약품 공급망 훼손, 사업 마진 축소, R&D 투자 축소
. 의약품 가격 상승(약가 인하라는 정책과 상충됨)
=> 개인의견) 글로벌 공급망(특히, 인도와 중국)이 무너지면, 일시적으로 의약품 부족 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음
- 과도한 비용과 소요 시간
. 최대 20억 달러, 5~10년 소요도 가능(최소 2년 필요)
=> 개인의견) 4년 동안 트럼프 재임시절 눈치만 보다가, 흐지부지 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함
0 제약 회사) 로비 활동 중
- 제약사) 25%를 한꺼번에 부과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올리는 것을 미국 행정부에 제안하고, 이렇게 예상
- 연방법에 따라 대중 의견청취 기간이 있기 때문에, 실행 시기는 지연될 수 있음
=> 개인의견)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관점에서, 꼭 관세를 도입해야 한다면, 점진적인 관세 인상이 적절할 수 있음
0 목요일) 구체적인 내용이 발표되지 않을 수도 있음
=> 개인의견) 절충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임
0 내일 새벽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한번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더불어, 회사도 적절히 대응할 것이고,
- 관세가 도입되던, 그렇지 않던 회사는 다 계획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출처>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pharma-majors-lobby-trump-delay-industry-targeted-tariffs-reciprocal-duties-loom-reuter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pharma-industry-lobbies-trump-phased-tariffs-sources-say-2025-04-01/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international/global-trends/ahead-of-trumps-tariff-announcement-pharma-bodies-brace-for-big-shake-up-what-could-happen-next/articleshow/119861266.cms?from=mdr
------------------------------------------------------------------------------------
중장기 투자자는 그려러니 하고, 시간을 보내면 언젠가 좋은 날 오겠지요. 여러분 모두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결정하세요.>
ps) 셀트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