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수출입 동향(의약품 13.2% 수출액 증가)

□ 산업부 3월 수출입 동향 발표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3f49a5a8c/170365/view?mno=&pageIndex=1&rowPageC=0&displayAuthor=&searchCategory=0&schClear=on&startDtD=&endDtD=&searchCondition=1&searchKeyword=#>


<11 페이지>

□ (바이오헬스: 6.9%) ①美ㆍEU 내 바이오시밀러 품목허가 확대 등 성장세 지속, ②글로벌 제약기업의 위탁생산(CMO) 수출 지속으로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의약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3.) 8.3(+13.0%) → (’25.3.) 9.3(+13.2%)

* 3.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EU) 3.7(+37.3%), (美) 1.7(+5.1%), (亞) 0.8(△3.6%)


<해석>

0 바이오헬스는 6.9%, 의약품만을 보았을 때 +13.2% 증가

- 바이오헬스 = 의약품 + 의료기기

0 유럽 증감률 높음


<18페이지>

0 의약품 수출 추이(단위 : 백만달러)

- 2024년: 719(1월), 733(2월), 826(3월), 794(4월), 821(5월), 743(6월), 794(7월), 864(8월), 805(9월), 786(10월), 960(11월), 747(12월)

- 2025년: 797(1월), 917(2월), 935(3월)


<해석>

0 2024년 12월 수출액이 감소하다가, 2025년 1월부터 큰 폭으로 회복세




------------------------------------------------------------------------------------



중장기 투자자는 그려러니 하고, 시간을 보내면 언젠가 좋은 날 오겠지요. 여러분 모두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의해서 신중히 결정하세요.>


ps) 셀트 중장기 투자 지표(참고용)
연도별 (예상) 매출, 바이오시밀러 등 제품 갯수
2021년(1.8조), 3개
2022년(2.2조)
2023년(2.2조)
2024년(3.5조), 6개
2025년(5.0조), 11개(짐펜트라 매출 0.7조~1.0조)
2026년(7.0~8.0조)
2027년(10.0조)
2028년(15.0조), 17개
2029년(18.0조)
2030년(24.0조), 22개(당기순이익 15조원)



seul**(579)

작성글검색
감사
51
[]
수정
  • 덧글
  • :
  • 쪽지 작성글검색 리포트